 |  |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달은 지구와 태양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도는 것과 같이 달도 지구의 주변을 돌고 있지요. 달이 밤 하늘에 밝게 빛나는 이유는 달 자체가 빛나는 것이 아니라 햇빛에 반사되어 빛나는 것이랍니다. 우리가 보는 달은 바로 이렇게 반사 된 부분을 보는 것입니다. 달이 지구의 주변을 돌다 보니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 햇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생겨 우리 눈에 보이는 부분이 점점 작아지기도, 또 반대 편으로 돌 때에는 또 점점 차오르기도 하는 것이랍니다. 완전히 달이 지구와 태양의 사이에 끼어있을 때에는 “월식”이라고 부르는 달이 보이지 않는 현상까지 생기게 되는 것 또한 달의 공전 때문이랍니다. | | As the moon circles the Earth, it doesn’t give off light of its own. It shines by reflecting light from the Sun. That is why the Moon gradually seems to change shape in the sky. We see only the part of the Moon that is facing the Sun! The side of the Moon that faces the Sun is lit up. When the Earth is between the Sun and the Moon, we see all of the daylight side, and we say that the Moon is full. As the Moon swings around the Earth, we see less of the daylight side and more of the dark side. We say that the Moon is waning. After a while, all we can see is a thin crescent. Finally that disappears, too. When the Moon is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we can see none of the daylight side. The dark side is turned towards us, and we say that the Moon is new. As the Moon continues its trip around the Earth, its daylight side and crescent shape come back into view. It grows and grows? people call this waxing? until it gets back to its starting point behind the Earth. Then we see the full Moon again. | 달이 지구의 주변을 회전할 때, 달 자체에서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닙니다. 달은 태양 빛을 반사 함으로써 빛납니다. 달의 모양이 하늘에서 점차 변화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우리는 달의 표면 중 태양과 마주 보이는 부분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빛나는 부분입니다.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있을 때에는 빛나는 부분만이 보이기 때문에 보름달이 뜨게 됩니다. 달이 지구 주변을 회전함에 따라 밝은 부분을 좀 더 작게, 어두운 부분을 좀 더 많이 보게 됩니다. 이를 달의 “쇠퇴하는 이울기”라고 합니다. 좀 지나면 가느다란 초승달이 뜨게 됩니다. 그런 이후 완전히 사라져버립니다.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을 때는 닭이 태양 빛을 받아 반사되는 부분을 전혀 볼 수 없습니다. 어두운 부분만이 지구를 향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합삭”? 새로운 달이라고 부릅니다. 달이 지구 주변을 계속하여 여행함에 따라 밝게 빛나는 부분은 다시 초승달 모양으로 변화합니다. 달은 지구 뒤에 다시금 위치할 때까지 차오르고, 차오릅니다? 이러한 것을 달이 차오르는 이울기라 합니다 - 그런 후 다시 보름달이 뜨게 되는 것입니다. |
|  | ☞ 초승달 :음력 3일경 태양이 진 후 서쪽하늘에서 잠시 보이다 지는 달 | ☞ 상현달 :음력 7, 8일경 정오에 떠서 자정에 지는 달 | ☞ 보름달 :음력 15일 태양이 질 때 동쪽하늘에서 뜨는 달 | ☞ 하현달 :음력 22, 23일경 자정에 떠서 정오에 지는 달 | ☞ 그믐달 :음력 26, 27일경 해뜨기 직전에 동쪽하늘에서 먼저 뜨는 달 |
|  |  | 보름달의 이름의 유래는 지금의 미국 북, 동부 지역의 토착 미국인이었던 인디언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토착 주민들은 달마다 일어나는 보름달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계절을 구분하였으며, 매번 보름달이 일어나는 각각의 달에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럼 달의 이름과 그 유래를 한번 알아볼까요? | | 1월 | Full Wolf Moon | Amid the cold and deep snows of midwinter, the wolf packs howled hungrily outside Indian villages. Thus, the name for January's full Moon.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 인디언 마을 밖에서 늑대들이 배고픔에 겨워 울음소리를 낸다는 이유로 Full Wolf Moon이라 불렀다 합니다. | 2월 | Full Snow Moon | Since the heaviest snow usually falls during this month, native tribes of the north and east most often called February's full Moon the Full Snow Moon. 무겁게 쌓인 눈은 보통 2월 중에 바닥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북동쪽 부족들은 대부분 보름달을 the Full Snow Moon으로 불렀다 합니다. | 3월 | Full Worm Moon | As the temperature begins to warm and the ground begins to thaw, earthworm casts appear, heralding the return of the robins. 온도가 올라가고 얼어붙은 땅이 녹게 되면 지렁이가 나타나 그에 따라 개똥지빠귀도 나타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Full Worm Moon으로 불렀다 합니다. | 4월 | Full Pink Moon | This name came from the herb moss pink, or wild ground phlox, which is one of the earliest widespread flowers of the spring. 봄에 처음으로 널리 퍼지는 꽃들 중의 하나인 연분홍색 허브이끼나 야생풀인 phlox로부터 유래되어 Full Pink Moon이라 불렀다 합니다. | 5월 | Full Flower Moon | In most areas, flowers are abundant everywhere during this time. Thus, the name of this Moon. 대부분의 지역에서 꽃들이 만개하게 되므로 the Full Flower Moon이란 이름이라 불렀다 합니다. | 6월 | Full Strawberry Moon | This name was universal to every Algonquin tribe. However, in Europe they called it the Rose Moon. Also because the relatively short season for harvesting strawberries comes each year during the month of June so the full Moon that occurs during that month was christened for the strawberry! 유럽사람들은 The Rose Moon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달은 딸기 수확을 위한 짧은 기간이 6월 중에 오기 때문에 6월의 보름달을 딸기 보름달로 명명하게 되었다. | 7월 | The Full Buck Moon | July is normally the month when the new antlers of buck deer push out of their foreheads in coatings of velvety fur. 부드러운 솜털로 뒤덮인 수사슴의 앞머리에 새로운 뿔이 나오는 시기에서 유래된 달의 명칭입니다. | 8월 | Full Sturgeon Moon | Since sturgeon, a large fish of the Great Lakes and other major bodies of water, were most readily caught during this month. 큰 호수 등지에 사는 철갑상어는 8월에 쉽게 잡을 수 있기에 지어진 이름입니다. | 9월 | Full Harvest Moon | At the peak of harvest, farmers can work late into the night by the light of this Moon. 한창 추수가 진행될 쯤 농부들이 이 밝은 달의 빛에 의해 늦게까지 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입니다. | 10월 | Full Hunter's Moon | With the leaves falling and the deer fattened, it is time to hunt. Since the fields have been reaped, hunters can easily see fox and the animals which have come out to glean 잎이 떨어지고 사슴이 살찌는 10월은 사냥하기 좋은 때로 들판의 풀들이 베어지므로 사냥꾼들은 쉽게 여우와 먹을 것을 찾으러 나온 동물들을 쉽게 볼 수 있다. | 11월 | Full Beaver Moon | This was the time to set beaver traps before the swamps froze, to ensure a supply of warm winter furs. 따뜻한 겨울용 모피를 얻기 위해 늪지대가 얼기 전에 수달 덫을 놓을 시기이기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 12월 | The Full Cold Moon | During this month the winter cold fastens its grip, and nights are at their longest and darkest. 매우 춥고 긴 밤에서 나온 말로 The Full Long Nights Moon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
| |
|
|  |  |  | 슛! 골인! 멀리 있는 휴지통에 휴지를 던져 넣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바로 이것이 투호 놀이랍니다. 투호놀이를 잘 살펴보면 우리 일상생활 곳곳에서 그와 비슷한 놀이방법이 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투호놀이는 일정한 거리에 놓인 투호병을 향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살을 그 속에 던져 넣은 놀이입니다. 살이 꽂힘에 따라 득점이 정해서 승부를 가리는 놀이이지요. 집에서 다양한 투호병과 살을 만들어 놀이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
|  | 1. 나무젓가락을 반으로 나눈 후 , 테이프를 감으면 완성 ! | Wind the tape all around the wooden sticks to make Too Ho! 테이프를 나무젓가락 둘레에 감아 투호를 만들자. | 2. 신문지를 돌돌 말아 테이프로 고정한 후 , 한쪽 끝을 가위로 잘라 술을 만들면 완성 ! | Here we have news paper. 신문지가 있어. Let’s roll the paper up and tape here. 신문지를 말고 여기를 테이프로 고정하자. Snips one of the ends to make a tassel. 한쪽 끝을 가위질을 하여 술을 만들자. | 3. 동전에 길게 자른 비닐을 붙이면 완성 ! | Let’s wrap the coin with the plastic bag. 동전을 비닐 봉지로 싸자. Tie up here and snip the plastic bag to make a tassel. 여기를 묶고 가위질을 하여 술을 만들자.
| | Let's play Too-Ho game. 투호 놀이를 해보자. Stand behind the line and throw the stick into the jar. 금에 서서 살을 병에 넣어 보자. I will give you 10 sticks.10개의 살을 줄게. If you throw more sticks into the jar, you win this game. 만약 투호병에 더 많은 살을 넣으면 이기는 게임이야. Are you ready? 준비 되었니? Throw your sticks. 살을 던져 보자. Are you done? 다 던졌어? How many sticks are in the jar? 몇 개나 넣었니? Let’s count. 세어 보자. |  |
|  |  | |
|
 | | | Papa, Please Get the Moon for Me
모양이 변하는 달을 소재로 달과 함께 놀고 싶어하는 아이의 마음과 그런 아이를 위해 달을 따다 주는 아빠의 한없는 사랑을 잘 표현한 작품입니다 . 사다리를 가지고 이동하는 장면이나 달을 향해 올라가는 부분, 달을 따고 내려오는 부분 등은 각각 페이지를 위 아래, 양 옆으로 펼쳐볼 수 있는 입체북입니다. | | Good Night Moon
이 작품은 대표적인 Bedtime Storybook으로서, 그림책의 고전으로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간단한 사물의 이름이 나열된 이 책 속에는 저자의 상상력이 총동원되어 표출되고 있는데, Great Green Room 안에는 실체 Bank Street의 의자와 시계뿐 아니라, 세 마리 곰과 달을 뛰어넘는 소와 같은 고전적인 가상의 캐릭터들로 동화의 이미지를 살리고 있습니다. | | Happy Birthday, Moon어느 날 주인공 곰은 문득 밤하늘에 떠있는 달님을 보고 생일선물을 하고 싶다 생각하지만 언제가 달님의 생일인지, 또 어떻게 전해주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그래서 곰은 강을 건너고 숲을 지나 아주 높은 산에 올라가 달님에게 물어 봅니다. 곰의 말에 메아리가 길게 대답하지만 곰은 그것이 달님이 대답한 것인 줄 알고 집으로 돌아와 저금통을 털어 달님에게 선물할 모자를 삽니다. | | One Lighthouse One MoonAnita Lobel 의 이 책에는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요일과 색깔을 대응시킨 'All Week Long', 1월에서 12월까지의 모습을 나열하여 계절의 특징을 알아보는 'Nini's Year', 세번째 'One Lighthouse, One Moon'은 등대가 서 있는 바다의 풍경을 숫자를 써서 하나의 이야기로 표현했는데, 고흐의 그림을 연상시키는 힘있고 꿈틀거리는 해변의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 Good Evening Dear Moon!"달님, 안녕" 으로 국내에 소개된 영어판입니다. 밤에 달님이 점차 환하게 떠오르다 구름에 가려지고 다시 달님이 모습을 드러내는 늘 볼 수 있는 현상을 의인화시켜 섬세하게 표현한 유아용 책입니다. 지붕 위로 차츰차츰 떠서 환해지는 달님과 달을 뒤덮는 구름, 고양이 두마리와 아이의 모습이 단순하면서도 선명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
|
|